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텃밭가꾸기66

완두콩 파종(심는)시기 재배법 중부지방 완두콩 심는시기 파종시기,완두콩 재배법 완두콩 재배법 요약 완두콩 파종(심는)시기는 3월중순 ~ 4월초, 텃밭에 가장 먼저 완두콩을 파종한다. - 감자 심는 시기에 완두콩을 심는다. (대개 감자 심을때 완두콩을 심는다) - 경기 및 중부 지역의 경우, 3월 중순말 ~ 4월초에 파종한다. - 완두콩을 심을 곳은 3월초순~ 중순까지에 3평당 퇴비 한포(20kg)를 넣어 밭갈이를 해 놓는다. - 겨울이 따뜻한 남부지방에서는 보리 심을때 완두콩을 파종하고 월동시켜 이듬해 봄, 보리 수확철에 완두콩도 함께 수확하는 경우도 있다. 완두는 콩 중에서도 서늘한 기후를 가장 좋아하고 추위에도 강해 남부 지방에서는 노지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이용 형태는 풋꼬투리, 풋완두, 완숙콩의 세 가지가 있는데 이용 부위에.. 2022. 3. 16.
쥐눈이콩 파종(심는)시기 재배방법 쥐눈이콩 재배방법,쥐눈이콩 파종(심는)시기/수확시기,쥐눈이콩 효능/먹는방법 쥐눈이콩 재배방법 ​검정 쥐눈이콩은 다년생 초본으로 잎은 어긋나게 나오는 3출복엽이고, 꽃은 8월 중순에 잎겨드랑이에서 10∼20개의 꽃이 피고, 꼬투리는 진황색이며, 종자는 검은 광택이 나는 소립종으로서 100립중이 12∼13g 정도이다. ​ 줄기는 보통 덩굴성이며, 전체적인 생육과 특성은 일반 검정콩과 비슷하나 잎이 다소 적으며 초형이 왜소하고 꼬투리가 작으며 2개 정도의 종자가 들어있다. ​ 수많은 가짓수의 콩 가운데서 ‘약성’이 단연 뛰어난 콩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서목태(鼠目太) 또는 콩나물콩으로 부르는 쥐눈이콩이다. 쥐눈이콩은 쥐눈처럼 작고 반짝반짝 윤이 난다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일반적으로 보통 콩의 절반 크기에도 못.. 2022. 3. 15.
쪽파 심는시기 재배방법 가을 김장쪽파 심는시기/파종시기와 방법.쪽파 재배방법,쪽파병충해 방제법 쪽파 재배방법 재배총론 ​ 쪽파 주요재배 작형은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파종하여 10월부터 12월까지 출하는 김장철 출하 작형이 80%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여름 단경기 생산을 위한 억제재배 작형으로 6월 하순경에 파종하여 7∼8월까지 수확하는 작형이 주로 이루어지고 일부 적은 면적이지만 9월 상순에 파종하여 2∼3월에 출하하는 비닐 터널재배 작형도 재배되고 있다. ​ 주요재배 기술로 쪽파 품종선택은 다른 작물과 같이 품종의 분화가 많지 않으며 재배되고 있는 대부분 품종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지방별로 그지방 재래종이 대부분이다. 숙기별로는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우리지역의 재배품종은 대부분 조생종으로 제주도 .. 2022. 3. 13.
호박 재배 방법,늙은 호박 파종(심는) 시기/호박 순치기 방법 호박 재배 방법,늙은 호박 파종(심는) 시기/방법,애호박 순치기 방법,호박 종류 호박 재배방법 ​호박은 1년생 초본(草本)식물로 암수한그루이다. 뿌리는 깊고 넓게 분포하여 흡비력과 내건성이 매우 강하다. 직파하는 경우 직근은 2m까지 자라며 측근이 잘 발달하여 양수분 흡수에 유리한 근계를 형성한다. 줄기는 덩굴성으로 어미덩굴이 길게 자라는데 페포계 호박은 덩굴성 품종도 있지만 마디마디가 짧아 비덩굴성을 나타내는 품종이 많다. 꽃은 줄기의 엽액에 단독으로 착생하는데 암꽃은 꽃자루가 짧고 굵으며 주로 덩굴의 상부에 맺힌다. 반면 수꽃은 꽃자루가 길고 가늘며 덩굴의 아랫부분에 맺힌다. 호박은 품종이 다양하며 그에 따라 과실의 모양, 크기, 색깔, 무늬, 육질 등이 다양하다. 과실의 착과습성도 종간에 차이가 있.. 2022. 2. 22.
딸기 모종 심는 시기,딸기 재배 방법 노지 딸기 재배 방법,딸기 모종 심는 시기,딸기 병해충방제 및 생리장애 딸기 재배방법 ​품종의 선택 딸기는 다른 원예작물에 비해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토양과 환경에서 자랄 수 있으며 비료는 조금만 주어도 된다. 그러나 가뭄에 약해서 물 보유도가 높은 땅에 심거나 밭고랑에 물을 대거나 또는 물뿌리개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한다. 기는줄기 식물은 다음해에 수확하기 위해서는 초가을에 심어야 한다. 겨울이나 봄에 심으면 처음 수확되는 열매가 작고 알차지 않기 때문에 첫해에는 꽃을 따내서 열매 맺는 것을 막는다. 1번 심고 나면 보통 1~4년간은 다른 개체로 바꿔 심지 않는다. 모개체에서 자라나는 기는줄기를 잘라내든지 모개체 주위의 개체들 수를 제한해야 한다. 겨울이 혹독하게 추운 곳에서는 봄에는 밭에서 키우지만 겨.. 2022. 2. 17.
상추 파종시기 재배방법 봄 상추 파종(심는)시기,상추 재배방법 상추 재배방법 상추를 잘 키우기 위해서는 물이 충분하고 특히 날씨가 따뜻해야 한다. 싹트는데 알맞은 온도는 15~ 20℃이고, 상추가 잘 자라는 온도는 15~ 20℃이며 결구에는 10~ 16℃가 적합하다. 상추는 비교적 서늘한 기후에서 생장이 잘되는 호냉성 채소로서 더위에 약하여 생육기간중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쓴맛의 증가하고, 여러가지 병이 걸리기 쉽다. 제철이 아닌 때는 온실, 유리로 된 온실, 원예용 유리덮개인 클로시, 비닐덮개 등으로 보호해 키운다. 상추 종류 국내에서는 재래변종인 축면 포기잎상추 (적축면, 청축면)와 잎을 하나하나 따면서 오랫동안 수확하는 치마 잎상추(적치마, 청치마)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에 결구 상추가 일부 재배된다. 품종선택은 .. 2022. 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