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특약용작물재배법14

땅두릅 재배법 땅두릅 모종 심는시기 땅두릅 모종 심는시기,땅두릅 씨앗 파종시기 방법,땅두릅 재배법 땅두릅 재배법 ‘참두릅’은 두릅나무에서 나는 새순으로 가시가 있지만, ‘땅두릅’은 땅에서 바로 나오고 가시가 없어 보송보송한 게 특징. 두릅나뭇과의 여러해살이 작물로 어린순은 식용 으로, 뿌리(독활)는 약용으로 사용한다. 땅두릅(Aralia continentalisKitagawa)은 두릅나무과의 다년생 작물로 어린순은 식용으로, 뿌리는 약용(독활, 강청, 토당귀)으로 사용하며, 잎, 줄기, 뿌리 등에 아랄린(Aralin), 아렐로사이드 A, B, 사포닌(Saponin), 쿠마린(Coumarin-6) 등이 들어 있어 면역력 증진효과가 탁월하다. 특히 한방약제로 사용되고 있는 뿌리의 표준물질인 카우레노산(Kaurenoic acid)이 함유되어 있.. 2024. 2. 14.
두릅나무 심는시기 재배법 두릅나무 묘목 심는시기,두릅나무 재배법/삽목법,두릅나무 심는 간격 방법 두릅나무 재배법 두릅니무는 겨울의 산이나 들에 낙엽이 진 모습을 보면 줄기에서 가시가 많이 돋아 나와 있다. 봄에 나뭇가지의 끝에 있는 어린 눈을 따서 귀한 산채로 이용한다. 맛과 향기가 있어서 각지에서 식용되므로 야생의 맛을 즐길 수 있다. 목재는 붉고 색을 띠고 가볍고 부드러워서 낚시의 부표로도 사용되고 성냥개비, 나무자루 같은 것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키가 3~4m 정도로 되는 낙엽성 저목으로 줄기에는 뾰족한 가시가 있다. 잎은 서로 마주 보며 착생하고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가장 자리가 톱니처럼 되어 있다. 8월경 나뭇가지의 끝에서 화수가 나오며 하얗고 작은 꽃이 피고 가을에는 작은 구형의 열매가 맺어 성숙하면.. 2024. 2. 13.
산마늘(명이나물) 재배법,산마늘 씨앗 파종방법/모종 심는 시기 산마늘(명이나물) 재배법,산마늘 씨앗 파종방법/모종 심는 시기 산마늘(명이나물) 재배법 산마늘(명이나물)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써 자양 강장효과가 높은 산채로 ‘맹이(命)나물’, ‘신선초’라는 별명으로도 불리운다. ‘맹이’라는 별명은 조선시대에 울릉도로 이주한 100여명이 겨울동안 육지에서 가져간 식량이 떨어져 굶어 죽기 직전에 이때 눈을 뚫고 돋아난 산마늘 싹을 발견하고, 이것으로 3개월 정도의 긴 겨울을 넘길 수 있었다고 한데서 유래하여 그때부터 목숨을 구한 식물이라 하여 ‘명이’라고 하였는데, 세월이 지나면서 ‘명’을 ‘맹’으로 발음하게 되면서 ‘맹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또한 일본에서는 산마늘을 ‘행자마늘’이라 하는데 수도승이 고행을 할 수 있는 체력을 얻기 위해 즐겨먹던 나물이기 때문에 붙여.. 2024. 1. 19.
표고버섯 종균 판매하는 곳 종균심는 시기 표고버섯 종균 판매하는 곳 구입처,표고버섯 종균심는 시기 표고버섯 종균 판매하는 곳 보통 ‘씨앗심기’는 풍성한 열매를 맺기를 기원하면서 우리 모두에게 밝은 미래를 기대하게 한다. 표고버섯 재배자들도 씨앗심기와 같은 ‘종균접종’으로부터 알찬 표고버섯 생산을 기대하는데, 건강한 ‘종균선택’이야 말로 가장 중요한 표고재배의 시작이다. 순 우리말인 씨앗을 한자로 표기하면 종자(種字)라고 하며 표고버섯은 균류(菌類)이기 때문에 표고버섯의 씨앗은 종균(種菌)이라고 한다. 종균의 좋고 나쁨을 외관으로 보고 구별하는 것은 충분한 경험이 없이는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표고버섯 종균은 순수한 표고균사로써 표고 특유의 신선한 냄새와 윤택한 색깔을 지니고 있다. 종균병에 오염균의 침입흔적을 반드시 확인하면.. 2024. 1. 1.
표고버섯 재배방법 참나무 표고버섯 원목재배방법,표고버섯 종균심는 시기 표고버섯 재배방법 표고버섯은 양송이, 풀버섯과 더불어 세계에서 많이 재배되는 3대 버섯 중 하나로, 특유의 향과 맛을 지녀 남녀노소 모두가 좋아하는 식재료이다. 표고버섯은 버섯균을 키우는 재배방법이므로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방식으로 재배하여 안전한 건강식품이다. 표고버섯에 함유된 베타글루칸과 비타민D는 바이러스 면역력에 강하고, 혈압을 낮추고 당뇨병 예방에도 효과적인 자연식품으로 인기가 높다. 표고버섯 재배방법은 원목 준비에서부터 시작된다. 단풍이 물들기 시작하면 나무를 베어다 겨우내 말려야 한다. 대규모로 버섯을 재배하는 농가들은 이맘때쯤 벌목 허가를 받아 산에 가서 직접 나무를 해오지만 자가소비용으로 소량 재배하는 경우라면 인근에 원목재배 농가.. 2024. 1. 1.
상황버섯 재배방법(기술) 상황버섯 원목 인공 재배방법,상황버섯 재배기술 상황버섯 재배방법 현재 국내에서는 자연산 상황버섯 이외에 원목 인공재배된 상황버섯이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원목 인공재배된 상황버섯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상황버섯은 한번 접종하여 4년간 재배되는 버섯으로서, 원목의 일부를 땅에 묻어서 재배하는 지면재배 방법으로 상업적 재배가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보다 집약적인 재배방법으로 원목을 덕(균상)에 매달아서 재배하는 지상재배가 시도되고 있다. 지상재배는 덕(균상)을 만들어 많은 숫자의 골목을 매달아 재배하는 것을 제외하면 그 재배과정이나 작업요령에는 큰 차이가 없다. 또한 현재 상황버섯 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버섯은 상황버섯의 종류만큼이나 여러 가지의 방법을 이용해 인공 재배되고 있다. 1. 상황.. 2023.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