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텃밭가꾸기66

고추 진딧물 없애는 방법 제거방법 고추 진딧물 없애는 방법,고추 진딧물 농약 제거방법암보험 비교사이트 비갱신형 알아보기고추 진딧물 없애는 방법(제거방법)고추가 달릴즈음 (6월~7월)고추 특유의 향기를 내면 진딧물이 생긴다. 진딧물은 번식력이 강해 초기에 잡지 않으면 주변 밭작물에 전이를 하여 작물의 수분과 영양을 빨아 먹어 성장을 느리게 하고 방치하면 포진작물은 말라 죽으며 생명력이 강해 영하 20℃이상 에서도 밭 주변 나무에 기생하여 살다가봄이 되면 활동을 재개 한다. 작물 줄기에 개미가 오르락 거리면 진딧물이 있다는 신호이다.개미와 진딧물은 공생관계이다. 진딧물 생기는 이유를 살펴보면 개미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개미는 진딧물의 소화액을 좋아하는데, 진딧물은 이 점을 이용해서 소화액을 개미에게 제공하고, 개미는 진딧.. 2023. 6. 13.
고추 약치는시기,고추 탄저병 예방법 고추 탄저병 처음 약치는시기/식초방재고추 탄저병 예방법 농약 치료법 고추 약치는시기 모든 병해는 식물체가 약해졌을 때 발생한다. 고추재배시 기비를 주었다 할 지라도 봄가뭄기와 장마기에 비절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봄가뭄이 길면 양분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비절현상이 나타나고 이때 괴저바이러스, 과실무름병, 세균성반점병 등이 발생한다. 또한 장마가 시작되면 가뭄으로 약해져 있던 뿌리가 습해를 받아 망가지면서 비절현상이 나타나고 이때 역병, 탄저병 등이 발생한다. 고추 정식후 약치는 시기는 정해져있지 않다. 고추에서 주로 발생하는 병해는 탄저병, 역병, 점무늬병, 무름병 등이 있으며 해충은 담배나방, 진딧물, 총채벌레, 차먼지응애 등이 있다. 고추를 정식한후 처음 약치는 시기는 보통 5월 중하순 경에 하면된다.. 2023. 6. 12.
고추 웃거름(비료)주는 시기 방법 고추 웃거름(비료)주는 시기 방법,고추 1,2차추비 시기 방법 고추 웃거름(비료)주는 시기 방법 생육기간이 긴 고추는 본밭에서만 5개월 이상 재배하고 비료를 많이 요구하는 작물이어서 생육기간 중에 비료성분이 부족하게 되면 낙화 (꽃이 떨어지는 현상)나 낙뢰(꽃 봉우리), 낙과(열매)현상이 심해 원하는 수량을 얻을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적당한 간격으로 웃거름을 나누어 주어야 비료 부족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9월 상순까지는 적어도 3~4회 정도는 웃거름을 주어야 된다. 고추 웃거름(비료)주는 시기는 본밭 정식 이후 25~30일 전후로 보통 5월 초.중순경에 정식한 농가가 많이 있으므로 1차고추 웃거름(비료)주는 시기는 6월 중순경에 1차 웃거름을 주고, 2차와 3차 웃거름도 30일 간격으로 주면 된다.. 2023. 6. 11.
서리태 파종(심는)시기,서리태 재배법 중부지방 남부지방 서리태 콩 파종(심는)시기,서리태 재배법/순치기 방법 서리태 재배법 현대인의 검은콩가루 다이어트로 이용되고 있는 서리태는 껍질은 검은색이지만 속은 파란색의 검은콩이다. 서리태는 대표적인 블랙푸드 음식으로 양질의 단백질, 지방과 안토시아닌, 이소플라본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서리태라는 이름이 붙게 된 이유는 서리태수확시기를 보면 알 수 있다. 서리태는 10월경에 서리를 맞은 뒤에나 수확을 할 수 있다. 이때 서리를 맞아 가며 자란다고 하여 서리태라는 이름이 붙게 됐다. 서리태는 물에 담갔을 때 잘 무르고 당도가 높으며 다른 잡곡과 함께 밥을 지어 먹거나 떡을 만들 때 이용되는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검은콩의 한 종류인 서리태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이뇨 작용을 도와 변.. 2023. 5. 3.
수박 모종 심는 시기,수박 재배법 노지수박 모종 심는 시기,수박 재배법,수박 순치기 방법/순지르기그림 수박 재배법 수박은 체소가운데 가장 강한 빛을 좋아하고 생육하는 데는 낮의 온도가 25∼30도, 저녁의 온도는 18∼20도가 적당한 온도이기 때문에 햇볓이 잘드는 장소를 선택해야한다. 고온에서는 잘 견디고 저온에서는 약하며 건조에는 강하고 습해에는 약한 작물이다. 뿌리는 공기를 좋아하고 깊게 뻗어 포기를 중심으로 깊이는 2m, 옆으로 3m까지 뻗는다. 수박의 뿌리는 호기성으로 건조에는 강하고 습해는 약한 기본 습성이고 뿌리는 재생력이 약하며 넓고(3m), 깊이(최대 2m) 뻗으므로 토심이 깊고 통기성, 배수 및 보비력이 좋은 사질양토가 적합하며 토양산도는 PH 5.0~6.8(약산성 토양)로 가장 좋다. 수박은 토양의 성질에 따라 생육과 .. 2023. 4. 26.
참외 모종 심는 시기 재배법 노지 참외 모종 심는 시기 재배법,참외 순치기 방법/순지르기 그림 참외 재배법 참외는 고온을 요구하는 작물로서 서리가 끝난 후 노지에 정식하여 여름철 고온기에 수확하는 것이 기본 재배작형이다. 참외의 발아적온 및 생육적온은 25°∼30℃로서 13℃ 이하에서는 생육이 억제된다. 일반적으로 생육기간중 온도가 낮고 일조량이 적으면 암꽃이 많이 생기는 성질이 있다. 토양은 물빠짐이 좋으면서 수분을 잘 지니는 땅이 좋다. 토양산도는 pH 6.0∼6.8이 알맞다. 참외는 병이 많은 작물 중 하나이다. 특히 잎이 누렇게 마르거나 급하게 시들어 보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질소질 비료가 과다하거나 모종을 너무 밀식했을 때 가뭄이 심하거나 배수 상태가 좋지 않을 때 또는 순지르기가 너무 과했을 때 나타난다... 2023. 4. 19.
반응형